7년전 대학 졸업 과제로 안드로이드 앱개발을 했던 이후로 꽤 오랫동안 안드로이드를 쉬다가 최근에 만들어보고 싶은게 생겨서 다시 시작하게되었습니다. 예전의 초보로 돌아가서 새로운 마음으로 하나하나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메인 컴퓨터는 맥북을 사용하고 있어서 Mac OS 기준으로 블로깅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당시에는 이클립스로 개발하였는데, 이제는 Android Studio로 통합되었네요. 먼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 설치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Android Studio 다운로드 진행을 위해 아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
2. DOWNLOAD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발생하고, 약관에 동의 후 다운로드를 시작합니다.
3. 다운로드된 파일(android-studio-ide-192.6392135-mac.dmg)을 실행하면 아래 화면이 발생합니다.
Android Studio 아이콘을 Application 폴더위에 드래그 해보겠습니다.
4. 설치가 완료되면, Launchpad에 Android Studio 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ndroid Studio 를 실행해보겠습니다.
"열기" 버튼을 눌러보겠습니다.
이전에 설치했던적이 있다면 이전의 설정 파일들을 import 할 수 있는 팝업이고, 이전의 설정파일이 없다면 "Do not import settings" 상태로 "OK"를 누르겠습니다.
Google이 Android Studio를 개선하기 위해 당신의 Android Studio 사용 방식을 수집하겠다는 내용으로, 동의하시면 "Send usage statistics to Google" 버튼을 누르고, 동의하지 않으시면 "Don't send" 버튼을 누르겠습니다. 프로그램 개선에 도움이 도움이 되는 것이니 저는 "Send usage statistics to Google" 버튼을 누르겠습니다.
5. 초기설정을 진행할 수 있는 Setup Wizard 가 발생하였습니다. "Next" 버튼을 눌러서 진행해보겠습니다.
"Standard" 기본으로 두고 "Next" 버튼을 누르겠습니다.
UI 테마 선택화면입니다. 저는 눈에 피로를 덜어주는 다크 모드를 선택해주도록 하겠습니다. "Next"
"Finish" 버튼을 눌러 Setup Wizard를 마무리 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설치 도중에 아래와 같이 HAXM 설치를 위한 암호 확인을 요청하기도 합니다. Intel의 HAXM 이란 Hardware Accelerated Execution Manager로써 애뮬레이터를 빠르게 실행하기 위한 기능이라고 합니다. 암호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아래 화면이 떴다면, Android Studio 사용을 위한 모든 작업을 마친 것입니다. 프로젝트 생성은 다음 편에 업로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rogramming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안드로이드 앱개발(6) - 레이아웃과 코드 연결 (0) | 2020.05.07 |
---|---|
Mac 안드로이드 앱개발(5) -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구성 (0) | 2020.05.06 |
Mac 안드로이드 앱개발(4) -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앱 실행 (0) | 2020.05.06 |
Mac 안드로이드 앱개발(3) - Android Studio 애뮬레이터 실행 (0) | 2020.05.05 |
Mac 안드로이드 앱개발(2) - Android Studio 프로젝트 만들기 (0) | 202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