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생성 후 프로젝트 구조를 파악하기에 앞서서 애뮬레이터를 통해 앱을 실행해보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바일 기기가 별도로 있으면 개발이 굉장히 수월하지만 혹시 모바일 기기가 없으면 애뮬레이터로 개발을 해야합니다. 예전에는 애뮬레이터 성능이 굉장히 쓰레기 였습니다만... 지금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네요...

Cannot find AVD system path. Please define ANDROID_SDK_ROOT

 

AVD Manager를 눌러봅니다.

 

AVD Manager 에서 기존 생성되어있는 virtual device 를 사용해보려고 했으나, 다운로드할 수 없었습니다. "Create Virtual Device"로 새로 생성해보겠습니다.

 

디폴트로 선택되어있는 Pixel 2를 선택하고 "Next" 눌러보겠습니다.

 

가장 API 레벨 낮은 걸로 다운로드 받아보겠습니다.

 

"Accept" 한 후 "Next" 눌러보겠습니다.

 

virtual device 다운로드가 시작되며, 완료시 "Finish"를 누르도록 하겠습니다.

 

virtual device 다운로드 완료되면 "Next"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클릭해보겠습니다. 

 

아래 기본 설정은 그대로 두고 "Finish" 눌러보겠습니다.

 

아래 신규 생성된 Pixel 2의 재생버튼을 눌러봅니다.

 

아래와 같이 virtual device 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습니다. 심지어 1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옛날에 5분 이상 걸렸던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발전이네요. 

 

 

다시 아래의 재생버튼을 눌러보겠습니다.

 

앱이 애뮬레이터에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앱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ndroid Studio 에서 안드로이드 앱개발을 위해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Android Studio 를 실행하면 아래 화면이 발생하고 "Start a new Android Studio project" 버튼을 눌러보겠습니다.

 

 

2. 프로젝트 생성시 메인 화면이 될 Activity 의 템플릿을 선택하는 화면이 발생합니다. 개발하고자하는 앱의 형태가 이미 머리속에 있으시다면 그것과 비슷한 형태의 템플릿을 설정하면 됩니다만, 저는 일단 아무것도 없는 "Empty Activity" 로 설정해서 대략 코드가 어떻게 생겼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기본 정보들을 입력하는 단계입니다.

 

 

  • Name : Android Studio 내에서 이 프로젝트를 식별을 위한 이름입니다. (번역기를 개발하고자 하여 MyTranslator로 하였습니다.)

  • Package name : Play Store 내에서 이 앱을 식별하기 위한 이름이므로, 다른 앱들과 겹치지 않도록 이름을 지어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com.[회사이름].[서비스이름] 과 같은 형태로 지을수 있습니다. 카카오를 예로 들면, 카카오톡은 com.kakao.talk와 같고, 카카오스토리는 com.kakao.story와 같습니다.

  • Save location : 프로젝트가 생성될 경로이고, 기본 설정을 유지하면 됩니다.

  • Language : Kotlin vs Java 2가지 선택사항이 있습니다. Java는 전통적으로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 사용하던 언어이고, Kotlin은 최근 3~4년 사이 구글이 밀고 있는 언어입니다. Kotlin 은 기존 Java 대비 간결한 문법을 가지고 있고, Java의 일부 부족한 부분을 보완했다고 합니다. 구글이 밀고 있다는 점, Kotlin으로 개발된 앱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봤을 때, 결국에는 Kotlin이 대세가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Kotlin 이 항상 옳다라고 얘기할 수는 없겠지만, 계속 보완되고 발전해나갈 것이라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저는 Kotlin으로 선택하겠습니다.

  • Minimum SDK : 어느 버전 이상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도록 할지 결정하는 옵션입니다. 높은 버전을 선택할 수록 신규 API 를 통해 더 고도화된 기능을 탑재할 수 있지만, 해당 버전보다 낮은 버전을 탑재한 모바일 기기에서는 다운로드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 저는 전세계 94%의 기기를 커버할 수 있는 API 21(Lollipop) 버전을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 Use legacy android.support libraries : 신규 OS 에 추가된 신규 API 를 사용하게되면, 이전 OS가 설치된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는 해당 API 를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개발자는 Mashmallow 모바일 기기로 개발하여 정상동작하는 앱을 만들었더라도, Play Store에서 다운로드 받은 일부 Lollipop 기기 유저들은 앱이 정상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럴때 android.support library 를 사용하면, 신규 OS와 이전 OS 모두에서 정상동작 가능하게 support 해줍니다. 다만 아직 초급단계의 개발이라면, 이런 하위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4. 위에서 "Finish" 버튼을 눌렀다면, 아래와 같이 실제 개발을 위한 화면이 발생하게 됩니다. 오른쪽에 "What's New" 탭은 최소화 버튼으로 최소화 해주시면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다음편에서는 애뮬레이터를 통한 앱 실행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년전 대학 졸업 과제로 안드로이드 앱개발을 했던 이후로 꽤 오랫동안 안드로이드를 쉬다가 최근에 만들어보고 싶은게 생겨서 다시 시작하게되었습니다. 예전의 초보로 돌아가서 새로운 마음으로 하나하나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메인 컴퓨터는 맥북을 사용하고 있어서 Mac OS 기준으로 블로깅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당시에는 이클립스로 개발하였는데, 이제는 Android Studio로 통합되었네요.  먼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 설치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Android Studio 다운로드 진행을 위해 아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

 

2. DOWNLOAD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발생하고, 약관에 동의 후 다운로드를 시작합니다.

 

 

3. 다운로드된 파일(android-studio-ide-192.6392135-mac.dmg)을 실행하면 아래 화면이 발생합니다.

Android Studio 아이콘을 Application 폴더위에 드래그 해보겠습니다.

 

 

4. 설치가 완료되면, Launchpad에 Android Studio 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ndroid Studio 를 실행해보겠습니다.

 

"열기" 버튼을 눌러보겠습니다.

이전에 설치했던적이 있다면 이전의 설정 파일들을 import 할 수 있는 팝업이고, 이전의 설정파일이 없다면 "Do not import settings" 상태로 "OK"를 누르겠습니다.

 

Google이 Android Studio를 개선하기 위해 당신의 Android Studio 사용 방식을 수집하겠다는 내용으로, 동의하시면 "Send usage statistics to Google" 버튼을 누르고, 동의하지 않으시면 "Don't send" 버튼을 누르겠습니다. 프로그램 개선에 도움이 도움이 되는 것이니 저는 "Send usage statistics to Google" 버튼을 누르겠습니다.

 

5. 초기설정을 진행할 수 있는 Setup Wizard 가 발생하였습니다. "Next" 버튼을 눌러서 진행해보겠습니다.

 

"Standard" 기본으로 두고 "Next" 버튼을 누르겠습니다. 

 

UI 테마 선택화면입니다. 저는 눈에 피로를 덜어주는 다크 모드를 선택해주도록 하겠습니다. "Next"

 

"Finish" 버튼을 눌러 Setup Wizard를 마무리 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설치 도중에 아래와 같이 HAXM 설치를 위한 암호 확인을 요청하기도 합니다. Intel의 HAXM 이란 Hardware Accelerated Execution Manager로써 애뮬레이터를 빠르게 실행하기 위한 기능이라고 합니다. 암호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아래 화면이 떴다면, Android Studio 사용을 위한 모든 작업을 마친 것입니다. 프로젝트 생성은 다음 편에 업로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